이근안이와 영화 밀양
대한민국이 낳은 최고의 거장, 이창동 감독이 만든 영화중에 '밀양'이 있다. 이 영화의 백미는 바로 아들을 살해한 살인범을 드디어 용서하기로 마음먹은 주인공이 그를 면회간 장면이다. 참으로 힘들게 결심하고 간 그자리에서 어이없게도 살인범은 자신은 이미 회개했으며 신으로부터 용서를 받았노라고 말한다. 이 장면에서 많은 이들이 당호스러웠을 것이다. 특히 기독교를 믿는 이들중 그나마 제 정신박힌 이들이 마주했을 당혹감을 이루 말로 할 수 없었을 것이다.
나같은 사람은 그리 당혹스러워하지 않을 것이다. 난 근대국가가 엄격한 수준에서 신정분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는 사람이자 결정적으로 신의 존재를 전혀 믿지 않는 무신론자이기 때문이다. 그가 믿는 신이 그를 용서하건 말건 그건 그가 지은 죄와 하등의 연관도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가 믿는 신앞에서 회개하고 반성하며 달게 자신이 저지른 죄에 대한 처벌을 감내할 수 있다면 그건 좋은 일이다. 그리고 딱 거기까지가 종교가 맡아야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그가 신에게 용서를 받았다고 해서 법치 국가가 정한 법적 처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고문 기술자로 이름을 날린 이근안이가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발언을 했단다. 그런데 이 이야기는 사실 이미 오래된 이야기다. 꽤 오래전에 난 이근안이가 무려 목사가 되었다는 소식을 접한 바 있으며 그 순간에도 그는 자신의 행위에 대해서 전혀 반성하거나 참회하지 않고 있었다. 그가 자신이 고문한 이들이 합리화를 감행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 합리화를 시도하는 이는 바로 그 자신이었을 뿐이다. 그런데 영화 밀양에서처럼 이 땅의 기독교는 그런 인간에게 면죄부를 던져 주었을 뿐 아니라 목사라는 지위까지 인정해 주었다.
목동에 제자교회라는 곳이 있다. 담임 목사가 횡령 혐의로 구속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목사를 맹목적으로 신봉하는 이들은 목사에게 죄가 없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주장은 이렇다. '교회법상으론 아무 문제도 없는데 왜 세속의 법이 목사를 재단하는가?'이다.
대저 남조선의 기독교와 기독교인들이 빠져 있는 자가당착은 바로 이런 지점이다. 그들의 의식세계는 아직도 중세 유럽의 기독교적 세계관에서 단 한 걸음도 진화한 것이 없다. 그들은 근대 국가 자체를 인정치 않는다. 당연히 신의 지배가 아닌 제도들에 대해서 마녀사냥을 하듯 죄악시 하는 것이다. 그런 이들의 눈에 하잘 것 없는 인간들이 국가를 움직이는 권력을 갖는다는 민주주의란 제도, 심지어 민주주의에선 기독교도가 아니어도 기독교도와 동등한 권력을 갖는다. 중세 유럽이란 시간속에 그대로 머물고 있는 남조선 기독교인 들에겐 불경도 이런 불경이 없는 것이다.
난 순간 순간 독재의 유혹에 빠지는 인간이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더러 '수준이 낮다'는 막말을 내뱉기도 하는 인간이지만 그런 나의 행태 역시 오만이라는 것을 알기에 민주주의는 절대로 건드리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사람이다. 기독교를 제대로 믿는 사람들에겐 참 미안한 말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내가 기독교를 적대시 하는 것이다. 적어도 현재 남조선의 상황에서 보자면 기독교는 민주주의의 주적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Kinoki'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물' (0) | 2012.01.25 |
---|---|
'헬로 고스트' (0) | 2012.01.25 |
실수 (0) | 2011.11.11 |
독립영화관 [돌이킬 수 없는] (0) | 2011.10.29 |
[여인의 향기] 현명함과 타협사이 (0) | 2011.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