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시장에 대한 단상들. 1. 어느 영화 평론가가 그런 말을 했다. 영화 변호인과 국제시장은 결국 같은 프레임 안에서 움직이고 있다고. 이 영화들은 매우 중요한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지만 한 편으론 가장 중요한 현실을 극적으로 외면하고 있다고 말이다. 최근 화제인 영화 국제시장은 누구나 알다시피 당시의.. Kinoki 2015.01.10
다른 것, 다른 사람은 안 그럴 것 같지? '그런데 사실은 다 똑같아.' 사실 이런 말은 대체로 효용성이 거의 없다. 그런데 정작 세상살이를 말할때 이것만큼 진실에 가까운 언명도 없다는 건 아이러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런 말은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는 이들'에게 주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그 비관의 대부분은 자신의 노력에.. Kinoki 2015.01.05
빈대 잡으려고 집 태우는 방법. 영화 '브로큰'이 상영된단다. 안넬리나 졸리가 마이크를 잡은 영화고 다루는 소재가 2차 대전 당시 일본군의 만행과 관련된 부분이라 일본내에서 논란(그래봐야 몰상식한 일본 극우들이지만 물론 그 극우들이 권력을 잡고 있다는 게 문제고) 이 되었다고 한다. 뭐 그 이야기다. 대체로 전.. Kinoki 2015.01.04
위험한 기계론적 평등주의자들. '기계론적 평등주의' 알다시피 모든 류의 평등은 모두에게 동일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남한의 꽤 많은 사람들이 이걸 평등인 양 착각하는 경향들이 많다. 즉 개개인이 처한 개별적인 상황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모두에게 동일한 수준의 평등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평등에 대.. Kinoki 2014.12.29
퇴행일까? '국제시장'이란 영화가 개봉한단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열심히 홍보중이다. 내용? 미안한 이야기지만 온라인에서 홍보하는 것 그대로일 것이다. 그 이상의 무엇을 기대할 건 없는 것 같다. 그리고 이런 영화가 늘 그랬듯 역시 퇴행 논란에 휩싸일 것이다. 물론 아직 영화 개봉전이다. .. Kinoki 2014.11.29
[배틀 로얄] 경쟁. 경쟁을 넘어 적자생존이란 소재를 다뤄서 많은 화제를 모았던 작품이다. 특히 그 표현방식의 적나라함은 더 큰 감흥을 불러왔다. 그런데 정작 그 영화 이후 본격적으로 우리 사회가 적자생존의 질서로 나아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우리 사회의 경각심은 그다지 높지 않다. 거.. Kinoki 2014.11.15
[블랙호크 다운] 몇 가지 이야기. 그 두번째. 이 영화는 납치작전에 실패한 이후 퇴각하지 못 하고 낙오된 미군 병사들의 생환기를 다룬다. 몇 가지 유심히 볼 장면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납치작전에 실패한 이후 낙오된 병사들이 살아남기 위해 애쓰는 동안 소말리아의 수도 모가디슈 상공을 미군 헬기가 날면서 방송을 하는 장.. Kinoki 2014.11.14
[블랙호크다운] 몇 가지 이야기. 그 첮번째. '블랙호크다운' 블랙호크는 미국산 군용 헬기의 이름이고 '블랙호크다운'은 그 헬기가 격추되었음을 의미하는 말이다. 이 영화는 90년대 초반 소말리아 내전에 개입했던 미군이 겪었던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당시 벌어졌던 소말리아 내전의 여파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어서 요즘은 .. Kinoki 2014.11.14
[해적] 카피? 그렇게 단순하진 않다. '캐리비안의 해적' 이 영화를 보면 누구나 떠올릴법한 영화다. 나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몇몇 부분에선 분명히 그 영화의 카피본이라는 혐의가 확실해 보인다. 일단 산적 두목으로 나오는 남주인공의 캐릭터가 캐리비안의 해적의 조니뎁과 판박이라는 점이다. 단순한 우연이라고 보.. Kinoki 2014.11.12
[플랜맨] 기본은 누가 뭐래도 이야기. 드물게 등장하는 아주 실험적인 몇몇 영화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화들의 경우 가장 중요한 건 누가 뭐래도 결국은 이야기다. 심지어 간혹 등장하는 실험적인 영화들이라고 해도 이야기 구조를 완전히 무시해버리는 대담한 시도를 하는 경우는 거의 보기 힘들 정도다. 이미 아동심리학.. Kinoki 201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