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이 우승한다. 코리안 시리즈도 이제 3차전이 끝났다. 경과는 SK 2승, 두산 1승. 많은 전문가들이 3차전을 박빙의 승부로 이긴 SK의 유리함을 지적한다.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일단 1승이라도 앞서고 있고, 확률적으로 SK가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3차전 경기를 본 나의 생각은 조금 다르다. SK의 가장 큰 장점은 무.. 아마츄어리즘 2008.10.30
스트라이크 존의 문제 포스트 시즌이 한창인 요즘 이맘때면 역시나 불거지는 '엽서만한 스트라이크 존'의 문제가 다시금 솔솔 피어오르고 있다. 내 비록 좋아하는 감독은 아니지만 야구에 관한 감각과 지식만큼은 존경을 금할 수 없는 김성근 감독조차도 같은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그렇다면 과연 스트라이크 존에 문제가.. 아마츄어리즘 2008.10.22
경험부족이 문제일까? <제리 로이스터 롯데 감독은 8일 1차전을 진 뒤 " 계획대로 되지 않았을 뿐, 선수들이 포스트시즌 경험이 없는 게 문제는 아니다 " 라고 주장했다.> 경험부족, 과연 그것이 그렇게도 문제가 될까? 대답은 이중적이다. 원래 '경험부족'은 문제가 되지 않아야 한다. 게다가 이 경우는 더 그렇다. 롯데 선.. 아마츄어리즘 2008.10.09
[올림픽 특집-스포쓰 이야기] 공놀이와 공간 1. 공을 가지고 노는 놀이에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공간적 제약이다. 탁자를 놓고 하든 맨 땅에 금 쫘악 그어놓고 하든 일정한 공간적 제약이 주어지는 것이 공놀이의 특징이다. 그리고 그 공간의 크기에 따라서 운동의 편향성이 주어진다. 이를 테면 축구는 대부분 전방 지향의 운동성이 요구된다. 수.. 아마츄어리즘 2008.08.15
"누구라도 나처럼 했을 것" 프로야구단 현대를 전신으로 하는 우리 히어로즈의 단장인 박노준이 최근 한 말이다. 현대 인수 문제가 KBO의 무능력함을 증명한 이후 다시 한번 논란을 불러 일으킨 사건의 당사자가 바로 박노준이다. 당시 그가 주창한 바는 프로야구 전체 판에 거품이 많다는 것이었으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지나치.. 아마츄어리즘 2008.04.20
세대교체 프로야구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굳이 야구가 아니어도 상관없다. 다만 내가 야구를 좋아하니 선택했을 뿐이다. 아이스 하키같은 동계 스포츠를 제외한 나머지 스포츠들에게 겨울은 휴식과 재충전의 계절이다. 특히 프로 스포츠처럼 '즐기는' 차원을 넘어서 돈이 거래되는 경우라면 단순한 휴식의 기.. 아마츄어리즘 2008.03.03
믿어선 안 될 말 간혹 소비자들의 소비행태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 내용을 들여다 보면 이른바 '충성도'란 항목이 있다. 특정 소비자군이 특정 제품을 사용함에 있어서 다른 제품들보다 얼마나 자주, 무의식적, 습관적으로 선택하는가 하는 항목이다. 실제로 모든 종류의 경영이나 마케팅 기법같은 것들이 존재하는.. 아마츄어리즘 2008.01.12
축구와 야구 대한민국이란 나라의 대표 스포츠가 무어냐? 즉 국기가 무어냐고 물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마도 '축구'나 '야구'라고 답할 것이다. 조금만 생각해보면 금방 '태권도'를 떠올릴 테지만, 그 짧은 시간을 두지 않고 물어본다면 필시 그런 대답이 돌아올 것이다. 그만큼 '축구'와 '야구'는 대한민국에서 .. 아마츄어리즘 2007.11.24
야구가 좋은 이유. 나는 두산 베어스의 팬이다. 대머리 쿠데타 독재자가 인민들을 무식하게 만들어 통치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그 프로야구의 초창기부터 난 프로야구의 팬이었고, 두산 베어스의 팬이었다. 어린 시절 보았던 OB베어스의 그 짜릿했던 원년 우승장면(기억력이 좋지 않지만 그 우승의 대미를 장식한 만루홈.. 아마츄어리즘 2007.06.22
야구를 잘 보지 않게 되다... 예전엔 주말 오후면 소파에 드러누워 프로야구를 봤었다. 야구라는 스포츠가 기본적으로 미국의 정치, 군사, 문화적 영향력이 강한 지역에서나 유행하는 국지적인 스포츠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은 사실 내가 이미 야구를 좋아하게 된 이후의 일이다. 그래서 어린 시절엔 고교야구에 열광했었고 조금 오.. 아마츄어리즘 2006.10.14